[미토] 존왕양이 사상의 弘道館코도칸
尊王攘夷존왕양이는 말그대로 왕을 받들어 적을 물리친다는 뜻으로 중국 춘추전국시대때 주나라에서 시작된 말인데요. 이 사상이 막부의 해체와 메이지유신, 그리고 당시 조선의 비극까지 일으키게했었습니다. 당시 토쿠가와 막부의 3대가문중 하나였던 水戸藩미토번은 뛰어난 학문으로 명성이 높았는데요. 초기에는 水戸黄門미토코몬으로도 유명한 2대번주 徳川光圀토쿠가와 미츠쿠니가 이끈 유학과 역사학이 발달했고, 후기에 7대번주 徳川斉昭토쿠가와 나리아키가 주자학을 중심으로 존왕양이사상을 이끌었어요. 그 미토학은 미토번의 학교에서 연구되어 왔고, 그 미토번의 학교가 弘道館코도칸입니다.

코도칸은 이바라키현 미토시에 있는데 100명성 스탬프를 찍는 곳이기도 해요. 사실 일본의 존왕양이 사상이 가져온 비극의 피해자인 한국인에겐 탐탁치않은 장소여서 갈 생각은 없었지만 100명성 스탬프땜에 (..) 출장가던길 아침에 잠깐 들렀었습니다.
딱히 볼만한 관광명소도 아니고그래서 여기서 비롯된 일본의 존왕양이 사상과 막말시대에 대해 함께 써 볼려고해요.
코도칸은 미토역앞에 있었는데요. 그 미토성이 있었던 자리의 바로 옆이기도 합니다. 지금은 弘道館公園코도칸공원으로 불려요.

토쿠가와 나리아키의 아들이었던 徳川慶喜토쿠가와 요시노부는 에도막부의 마지막 장군이었는데 장군을 관두고 에도에서 쫓겨나(?) 이곳에 머물렀다고 합니다.

처마가 고급스러웠고 멋있었어요. 다만 낮아서 그런지 이쪽으로 들어갈 수는 없고 우측의 입구로 들어가야 합니다.

들어갈 수는 없지만 여기가 정식 현관인데요. 바로 현관앞에 나리아키, 요시노부 부자의 상이 놓여있습니다. 다른 입구로 들어가면 현관에 갈 수 있어요. 현관을 통한 출입만 안될뿐이구요.

그리고 현관에서 보이도록 크게 "존왕양이"를 뜻하는 "존양"이라고 쓰여있어요.

尊王攘夷 손노죠이. 왕을 일왕을 뜻하게 해서 황으로 쓰는 경우도 있는데 발음 자체는 같아요. 에도말기에 외세의 압박이 거세졌어요. 그래서 이러한 사상으로 왕을 받들어 단결하고 외세를 물리치자는 운동이 시작되었어요. 이때 막부파와 薩摩사츠마번 = 카고시마, 長州쵸슈번 = 야마구치를 중심으로 한비막부파가 대립했는데. 원인은 미일수호통상조약을 맺을때 불평등하게 그것도 일왕의 허락없이 막부의 대로였던 井伊直弼이이 나오스케가 맺어버렸어요. 이에 반발이 커지고 이이 나오스케는 반대파의 숙청을 시작했는데 결국 본인이 암살당하고 말았죠.

이로써 막부파와 비막부파는 대립이 격화되고 군사력이 강했던 사츠마번과 쵸슈번에 일왕이 가세하게 되었어요. 이때 존왕양이는 비막부파의 외세배척의 구실이 되고 외국인에 대한 테러, 그리고 국민선동의 키워드가 되었구요.
그런데 위에서 썼듯이 존왕양이 사상을 퍼트린건 막부의 중심이었던 토쿠가와 나리아키였는데 비막부파가 항쟁하는 구실이 되는 아이러니한 상황이 되었어요. 그래서 막부측이 새로운 개념을 도입합니다.
公武合体 코부갓타이 = 공무합체
막부는 일왕에게 외세는 강하고 우리는 약하니 일단 조정왕실과 막부가 사이좋게 지내서 강해진 다음 그 후 외세를 물리치자고 협약을 맺습니다. 이게 코부갓타이정책이었어요.

게다가 사츠마번이 영국함대에 큰 패배를 당하고 회의에 빠져 이 공무합체파에 가세합니다. 그래서 조정과 막부, 사츠마번의 중심이된 공무합체파와 쵸슈번 중심의 존왕양이파로 갈리죠.
존왕양이파 - 개국불가. 왕도 외세를 싫어하니 전쟁을 해서라도 외세를 물리쳐야 한다.
공무합체파 - 왕도 막부도 중요하다. 개국은 싫지만 우리가 약하니 당장은 어쩔 수 없지 않는가.
이렇게 보니 조선말기와도 상황이 정말 비슷하네요..

그후 유일하게 남은 존왕양이파 쵸슈번은 미친듯이 외국인에 대한 테러를 해댔는데 이에 보복으로 출동한 외국함대의 화력에 좌절합니다. 그래서 쵸슈번도 안되겠다 싶어 일단 "양이"는 나중에 하기로 하고 사츠마번과 동맹을 맺습니다. 그리고 타겟을 막부로 잡았죠. 그래서 존왕양이에서 양이를 막부를 쓰러트린다는 도막으로 바꿔 尊王倒幕손노토바쿠 = 존왕도막을 슬로건으로 삼게 되었어요.

이때 등장하는 사람이 土佐藩토사번의 坂本龍馬사카모토 료마입니다. 사츠마, 쵸슈번에 비해 비교적 온건적이었던 토사번의 사카모토 료마는 사츠마-쵸슈의 薩長同盟삿쵸동맹와 막부측간의 내전에 외세에 대항도 못해보고 식민지화되는걸 걱정을 했는데 이게 정이대장군 토쿠가와 요시노부에게 편지를 보내서 내전이 안일어나게 정권을 조정에 반환해달라고 했습니다. 이에 요시노부는 승락을 하고 막부의 권력을 일왕에게 넘겨주는 大政奉還다이세보칸 = 대정봉환이 일어나게 되었죠.
사실 이때 무력으로 막부를 쓰러트릴려고 삿쵸동맹은 일왕에게 막부를 인정하지 않는다는 확약을 받으려 했는데 만약 그렇게 되었다면 삿쵸동맹이 막부의 자리에 올랐을테구요. 그 직전에 사카모토 료마의 활약으로 대정봉환이 일어나 더 잔혹한 일이 안일어나게 되었어요. 이게 삿쵸동맹에게 있어선 아주 분한 일이었다는데요. 그래서 사카모토 료마의 암살이 일어난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요시노부는 에도를 떠나 이곳 코도칸에 머물렀고 잠깐 병치료땜에 에도에도 갔었지만 줄곧 이곳에 있었다고 해요. 매화를 좋아해서 매실나무를 많이 심었다고 합니다.
당시 전국적으로 타도막부운동이 거셌기 때문에 에도막부 마지막 장군 요시노부는 무능력한 이미지가 많아요. 사실 그렇게 보이기도 하는데 아버지 나리아키는 당시의 엄청난 카리스마였어요. 일본의 3대정원 偕楽園카이라쿠엔도 나리아키가 만들었는데 백성 모두가 즐길 수 있는 정원이란 이름대로 모두가 평등하게 즐길 수 있도록 했었구요.
[미토] 일본의 3대정원 미토의 偕楽園 카이라쿠엔
岡山오카야마의 後楽園코라쿠엔(http://zlab.jp/537), 金沢카나자와의 兼六園켄로쿠엔(http://zlab.jp/322)과 일본의 3대정원으로 불리는 水戸미토의 偕楽園카이라쿠엔은 미토번의 9대번주 徳川斉昭토쿠�
zlab.jp
코도칸에서 내내 틀고 있던 애니메이션이 좀 재밌어서 봤어요. 요즘 애들이 여기서 놀다가 어찌되서 시간여행을 갔는데 당시 나리아키와 요시노부를 만나 당시 얘기를 듣는다는 스토리였어요. 안쓰러운 내용(?)은 다 빠졌는데 애니메이션의 퀄리티가 엄청나게 뛰어나요.
미토출신의 레젠드성우 토비타 노부오상도 참가해서 제타건담의 까뮤 비단으로 착각들때가 있죠 ㅋㅋ
댓글
이 글 공유하기
다른 글
-
[카사마] 카사마의 국화축제(笠間菊まつり)
[카사마] 카사마의 국화축제(笠間菊まつり)
2021.11.22재작년에 카사마성의 스탬프를 찍으러 이바라키의 카사마에 갔었어요. 그때 우연히 국화축제때인걸 알고 꽃구경을 하고 왔거든요. 그래서 출장으로 근처에 갔던 김에 잠시 들렀습니다. 예전에 포스팅을 한적이 있는 카사마이나리신사를 중심으로 마을 곳곳이 국화로 꾸며져있었어요. [카사마] 여우와 유부 笠間稲荷神社 카사마이나리신사 외국인들에게 인기있는 일본의 풍경중 하나가 빨간토리이가 겹쳐서 늘어선 풍경인데요. 쿄토 후시미伏見의 稲荷이나리신사가 유명하죠. 이나리는 농경, 음식등 생명의 근원을 관장하는 신인 zlab.jp 먼저 이나리신사로 들어가는데 입구부터 색색의 우산과 국화로 이쁘게 꾸며져 있었어요. 정말 이뻤어요. 위에 이나리신사의 포스팅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정말 허름하고 황량한(?) 곳인데 이렇게 화려해지다니요!… -
[우시쿠] 타우에 아키라의 화산스테이크 チャンプ챔프
[우시쿠] 타우에 아키라의 화산스테이크 チャンプ챔프
2021.02.27예전에 프로레슬링 노아라는 좋아하던 프로레슬링 단체가 있었어요. 전일본프로레슬링에서 고 미사와 미츠하루가 자기를 따르는 레슬러들과 독립해서 만든 단체였는데 뜨겁고 프로레슬링다운 프로레슬링을 보여줘서 열심히 보러다녔었어요. 전일본에는 사천왕이란 자이안트 바바의 애제자 네명이 있었는데 그중 카와다 토시아키를 제외한 세명이 미사와와 함께 노아로 갔었죠. 그 사천왕중 타우에 아키라田上明라는 선수가 있었는데 그분이 은퇴를 하시고 이바라키현 우시쿠牛久에 스테이크 가게를 열었습니다. 전 언젠가부터 프로레슬링을 잘안보게 되었는데 열혈 프로레스팬인 후배분이 일본에 올때 그 스테이크 가게에 성지순례를 다녀왔었어요. 와 … 근데 여기 무지 멀고 교통도 불편한데 다녀왔다길레 개인적으로 좀 놀랬었어요 ㅋㅋ 우시쿠역에서 버스로… -
[이바라키] 테마파크같은 라멘집 にんたまラーメン닌타마라멘
[이바라키] 테마파크같은 라멘집 にんたまラーメン닌타마라멘
2020.07.02이바라키茨城현에는 이상한 라멘집이 있어요. 어떤이는 이바라키의 소울푸드라고도 하고 어떤이는 테마파크라고도 합니다. 만화방도 아니고 게임센터도 아니고 목욕탕도 아닌 라멘집인데 그게 다 있는 아….진짜 이상한 라멘집이에요. 가게이름은 にんたまラーメン닌타마 라멘이라고 하는데 忍たま乱太郎닌타마란타로라는 만화와는 상관없어요. 대신 티비에 이 라멘집이 소개될때 항상 닌타마란타로의 오프닝인 용기勇気100%가 배경으로 깔립니다 ㅋ 24시간 영업이라 밤에 다니다 보면 눈에 잘띄는데요.가게앞 자판기도 의심(?)스럽습니다.이상한 자판기도 있어요. 뭐가 나올지 모르는 자판기 ㅋㅋ ㅋㅋㅋ 수상한 라멘집입니다. 닌타마라멘집은 이바라키현에 주로 있고 사이타마와 치바에 살짝 걸쳐있습니다. 특징은 라멘말고 시간떼울게 많다는 건데요…. -
[카사마] 여우와 유부 笠間稲荷神社 카사마이나리신사
[카사마] 여우와 유부 笠間稲荷神社 카사마이나리신사
2020.04.11외국인들에게 인기있는 일본의 풍경중 하나가 빨간토리이가 겹쳐서 늘어선 풍경인데요. 쿄토 후시미伏見의 稲荷이나리신사가 유명하죠. 이나리는 농경, 음식등 생명의 근원을 관장하는 신인데요, 이나리신사는 항상 여우의 상이 있어요. 이는 신이 여우를 이용해 인간에게 무언가를 전달하기 때문이고, 그래서 일본인들은 여우를 신성시하게 되었다고합니다. 稲荷寿司이나리즈시 = 유부초밥도 여기서 비롯된것인데요. 민간에서는 여우 자체를 신으로도 여겼는데 여우에게 공양을 할때 여우가 좋아하는 쥐를 튀겼다고하는데 이게 위생적으로 문제가 많고 그래서 형태가 비슷한 두부를 튀기게 되었다고 해요. 그럼 두부튀김=유부가 쥐를 튀긴거랑 생긴게 같단 얘기…. 그래서 유부가 들어간 소바를 키츠네소바=여우소바라고 부르구요. 이바라키 笠間카사마…
댓글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