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금 다른 일본의 주기도문

일본의 주의 기도에서 한국의 주의 기도랑 조금 다른 부분이 있어요. 일단 일본 카톨릭과 성공회의 공통역 기도문은 이렇습니다.
主の祈り 슈노이노리(주의 기도)
天におられるわたしたちの父よ、
텐니오라레루와타시타치노치치요,
하늘에 계신 저희들의 아버지여,
み名が聖とされますように。
미나가 세이토사레마스요우니.
(아버지의) 이름이 거룩하시도록.
み国が来ますように。
미쿠니가키마스요우니.
(아버지의) 나라가 오기를.
みこころが天に行われるとおり 地にも行われますように。
미코코로가텐니오코타와레루토오리 치니모오코나와레마스요우니.
(아버지의) 뜻이 하늘에서 이루어지는대로 땅에서도 이루이기를.
わたしたちの日ごとの糧を 今日もお与えください。
와타시타치니히고토노카테오 쿄오모오아타에쿠다사이.
저희들 하루의 양식을 오늘도 주십시오.
わたしたちの罪をおゆるしください。
와타시타치노츠미오오유루시쿠다사이.
저희들의 죄를 용서해 주십시오.
わたしたちも人をゆるします。
와타시타치모히토오유루시마스.
저희들도 다른 사람을 용서하겠습니다.
わたしたちを誘惑におちいらせず、 悪からお救いください。
와타시타치오유우와쿠니오치이라세즈, 아쿠카라오스쿠이쿠다사이.
저희들이 유혹에 빠지지 않도록, 악에서 구해주십시오.
밑줄을 친 부분이 조금달라요. 한국의 카톨릭에서는 저 부분이 "저희에게 잘못한 이를 저희가 용서하오니 저희 죄를 용서하시고"죠. 또 개신교, 성공회도 비슷합니다.
즉, 우리에게 죄를 지은 자를 우리는 용서할테니 주님도 우리를 용서해달라는 내용입니다. 그런데 이건 어느 나라도 공통이라 일본의 카톨릭과 성공회의 공동역 주의 기도만 저렇게 두 문장으로 나뉘고 순서가 바뀌어있어요.
이는 라틴어도 그렇게 되어있는데요.
Sicut et nos dimittimus debitoribus nostris, et ne nos inducas in tentationem.
우리의 빚을 탕감해주십시오, 우리가 빚을 진자들의 빚을 탕감한것 처럼(sicut).
예전에 친한 일본인 신부님에게 이 부분에 대해 물어본 적이 있어요. 한국의 주의 기도에는 저렇게 되어있는데 일본의 주의기도를 보니 지금까지의 표현이 마치 우리가 그랬으니 주님도 그래달라고 협박(?)했던거 처럼 느껴진다고 하니까 그 신부님이..
"바뀌기전에는 일본의 주의 기도도 그랬어요. 어려운 말로된 문어文語체를 쓸 때는
我らが人に許す如く我らの罪を許し給え.
와레라가히토니유루스고토쿠 ,와레라노츠미오유루시타마에.
저희들이 다른자를 용서하듯 저희들의 죄를 용서해주십시오.
..였어요. 일본 성공회와 구어체로 함께 공통기도문으로 할때 성공회측에서 이 부분이 주님을 낮추는 것같다며 의견을 제시해서 카톨릭이 받아들이기로 하고 저렇게 바뀌었어요."
그래서 카톨릭은 보수적인데 그걸 쉽게 받아들였냐고 물으니
"반대하는 의견도 있었지만 그렇게 생각하고 있던 신부님들도 많아서 주교님들도 찬성을 하셨어요. 어차피 그 의미가 중요한거고 의미대로 표현을 맞춘거니까요"
한국종교계같았으면 싸움이 났을거 같은데 합리적인 결정이라고 하니까 웃으시면서
"예수님은 주님의 아들이고 그 아들의 기도니까 우리 인간은 더 낮춰야죠" 라시더군요 ㅋㅋ
댓글
이 글 공유하기
다른 글
-
신이 너무 많은 일본
신이 너무 많은 일본
2020.08.18예전에 쿄토에 갔을때 嵐山아라시야마 天龍寺텐류지의 스님이 일본은 불교의 나라라고 말씀을 하시길레 신도의 나라라는 느낌이 더 강하다고 했더니 신도와 불교는 섞였다며 신도의 신과 석가는 급이 다르다고 하셨었어요. 근데 개인적으론 지금도 일본의 종교는 신도神道라는 생각이 들어요. 신들도 무지 많고 신사도 무지 많고요. 다만 스님의 말씀은 신도와 불교가 서로 잘 융화되어있어서 신사의 예법들이 불교를 따르고 유사하게 느껴지게 하는 부분을 뜻한거라고 생각되요. 그전엔 신도와 불교가 섞여있었는데 메이지시대에 신도를 통해 국민을 단합시키기위해 신도와 불교를 분리시켰어요. 그리고 일본의 영향있는 자들을 신으로 추앙시키며 우익화를 부추겼죠. 그래서 지금은 신도의 이미지가 더 강한거같구요. 초기 일본의 종교는 자연을 숭배하… -
일본의 삼대소고기 三大和牛삼대와규
일본의 삼대소고기 三大和牛삼대와규
2020.08.16和牛와규라는 말은 단순히 일본 종자의 소라는 뜻인데요. 일본에선 한우같은 의미로 쓰입니다. 그중 고급 브랜드의 와규들이 있는데요. 삼대와규는 이렇습니다. 松阪牛 마츠사카 우시神戸牛 코베 비프近江牛 오우미 우시米沢牛 요네자와 규 좀 이상한 부분들이 보이는데요 ㅋㅋ 1. 삼대와규인데 왜 4개냐마츠사카우시와 코베비프까지는 모두가 인정을 하는데, 남은 한자리를 오우미우시나 요네자와규가 들어갑니다. 2. 牛가 붙는데 달리 읽느냐그건 그들에게 물어보세요 ㅋㅋ 프리미엄스런 느낌을 줄려고 하는지 저렇게 부르더군요. 코베비프는 神戸ビーフ라고 쓰기도 합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그냥 다 ~~규를 붙여 말하기도 해요. 또 하나 특징이 있는데 양우법입니다. 이런 브랜드규는 霜ぶり시모부리라고 소위 마블링을 중요시하는데요 그래서 … -
사누끼우동 대세론에 대한 반론
사누끼우동 대세론에 대한 반론
2020.06.21香川카가와현은 자기들이 우동현으로 부를 정도로 우동에 대한 자부심이 쎄요. 지금 丸亀마루가메시를 중심으로한 讃岐사누끼우동은 일본의 삼대우동중 하나이고 우동하면 외국인도 사누끼우동이 유명한걸 아는 정도죠. 메뉴명인 타누끼우동과 발음이 비슷한 것도 지명도가 높아진 원인일것도 같지만… 사누끼 우동을 비롯 카가와현 사람들의 우동에 대한 고집과 프라이드는 엄청 쎕니다. 讃岐사누끼는 현재 카가와현에 해당하는 옛지명의 이름이에요. 옛날엔 讃岐国사누키노쿠니라고 불렸었거든요. 일단 일본에서 가장 작은 현인 카가와현이 우동용 밀가루소비량이 연간 6만톤에 달해 2위인 사이타마에 두배에 달하는 압도적인 양이에요 ㅋㅋ 게다가 만명당 우동가게수도 전국1위구요. 개인적으로 4대 진상이라고 하는데,1. 오사카사람들의 한신타이거즈얘… -
일본의 살기좋은곳 랭킹
일본의 살기좋은곳 랭킹
2020.05.30
댓글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