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장군과 그들의 오랑캐에 대해
유튜브에서 백제인의 후손인 大内오오우치가문에 대한 KBS의 영상을 보는데 타이틀이 "일본 최고의 쇼군 오우치는 백제인이었다"였는데요. 근데 이 타이틀이 좀 틀린거 같아요. 일단 오오우치가문과 야마구치에 대해서는 이전에 포스팅한 적이 있으니 한번 참고해주시구요.
참고 포스팅 : 백제인의 후손이 세운 서경, 동경보다 서경 야마구치, https://zlab.jp/655
사실 당시 将軍쇼군 = 장군이란 직위는 일본에서 상당히 높고 고유합니다. 장군은 征夷大将軍세이이타이쇼군 = 정이대장군을 뜻하거든요. 정이대장군은 당시 일본에선 무계의 수장으로 전국 각지의 대명들 위에 존재하는 직위입니다. 일단 정이대장군의 특권은 다음과 같은데요.
1. 일왕이 거주하는 교토외에 행정부를 열수 있는 권리
2. 일왕을 대신해서 군사권을 이용할 수 있는 권리
3. 일왕을 대신해서 외교를 할 수 있는 권리
비슷한 직위로 関白칸파쿠 = 관백이 있습니다. 토요토미 히데요시가 관백까지 올랐는데 관백은 군사권이 아닌 정치권을 이용할 수 있는 권리와 3번의 권리를 갖았습니다. 중요한건 1번인데 이게 바로 막부를 연다는 것이죠. 源頼朝미나모토노요리토모는 鎌倉카마쿠라에서 막부를 열었고, 足利義満아시카가요시미츠는 쿄토 室町무로마치에, 그리고 徳川家康토쿠가와이에야스는 江戸에도에 막부를 열었습니다. 그래서 막부를 연사람 = 그곳으로 행정부를 이전한 정이대장군이라고 보면 될거같아요. 즉, 오오우치가문의 번성기였던 때도 이미 쇼군은 있었습니다. 또 오오우치가문의 전성기를 이끈 大内義弘오오우치 요시히로는 막부와 대립하다가 전투에서 전사하게 되구요.
정이대장군은 전국시대가 되면서 일본을 통일한 대명이란 의미처럼 되었고 물론 가장 막강한 힘을 가진자가 된것은 맞지만 원래는 임명직이었어요. 征夷大将軍정이대장군이란 말 자체가 오랑캐를 징벌하기 위해 임명된 대장군이란 뜻이니까요. 그럼 여기서 오랑캐는 누구를 말하나가 궁금해집니다.
사실 오랑캐라는 말 자체가 여진족의 한부족의 이름에서 왔고 야만인이나 미개인이란 이미지가 강해서 그다지 좋은 단어는 아닌거같아요. 이민족이란 말이 제일 적당한거 같아요. 그렇다면 왜=일본민족이 아닌 이민족이란 말이되겠죠. 정이대장군의 시작을 보면 690년경 일본 각지의 지배를 거부하던 집단들을 공격하러 동서남북으로 군대를 보냅니다. 당시 동쪽으로 정벌을 갔던 巨勢麻呂거세마로.. 아니 코세노마로가 정이대장군격에 오른 최초의 인물로 위키페디아에 나와있어요. 그리고 당시 그가 정벌했던 곳이 토호쿠지역이었어요. 그러니까 당시엔 야마가타현조차 오랑캐(?)의 지역이었던거죠. 이 오랑캐를 뜻하는 단어중에 蝦夷에미시라는 말이 있는데 이들은 토호쿠지역에 살던 사람들이라고 해요.
일본민족은 大和民族야마토민족이라고 부르고 和人와진=화인이라고 부릅니다. 기본적으론 縄文죠몬시대때부터 일본에 살던 사람들이라곤 하는데 메이지시대때 坪井正五郎츠보리요소로라는 인류학자가 야마토민족에 대해 아이누족, 류큐민족, 조선민족=한민족, 대만민족을 제외한 선사시대부터 일본열도에 살던 사람이란 정의를 내립니다. 당연히 한민족과 대만원주민들은 다른 나라사람이니 그렇다 치지만 아이누족과 류쿠민족이 이민족으로 취급받았어요.
이 두 민족은 일본에서도 좀 독특한 외모의 사람들이죠. 오키나와는 琉球王国류큐왕국으로 불렸고 전국시대 이전까지 독립된 나라였어요. 그러다 전국시대때 카고시마를 지배하던 島津시마즈가문에 의해 점렴당합니다.
위키페디아에서 가져온 사진인데 피부색깔도 검고 털도 많습니다. 남방계통의 외모죠. 사실 카고시마쪽도 그런 사람들이 꽤 있어요. 지역적인 것도 있는거 같아요. 그래서 류큐민족으로 불리는데 시조신화도 다르고 언어와 문화도 이질적입니다. 전국시대부터 일본의 일부분으로 살아와서 편견이나 차별이 좀 덜한거같아요.
그리고 또 하나의 이민족이 アイヌ아이누족입니다. 홋카이도의 선주민들이라고들 하지만 사실은 크릴열도와 사할린쪽에 살던 사람들이에요. 그런데 이들은 아예 소위 서양인같은 외모입니다. 러시아에도 아이누족들이 살고 있구요.
예전 아이누족에 대한 책에서 본 글중 일본을 탐험하던 서양인들이 홋카이도에 가서 아이누족을 보고 남긴 기록에 "일본의 끝까지 가니 우리와 비슷한 외모의 사람들이 살고 있었다"고 남겼다는걸 봤어요. 위에 토호쿠에 살던 사람을 오랑캐를 의미하는 蝦夷에미시라고 했는데 아이누족 역시 같은 한자로 蝦夷에조라고 불렀어요. 그래서 홋카이도를 蝦夷地에조치 = 에조의 땅이라고 불렀었다고 하구요. 전국시대때부터 일본에 편입된 류큐민족과 달리 이들은 에도시대말까지도 홋카이도에 독립적인 생활을 했고 다시 마츠마에松前번이 이들과 교류하는 창구를 전담했다고하니 근대까지 다른 민족이었던거죠.
그런탓에 일본민족에 의해 강력한 탄압을 받습니다. 와진들이 홋카이도에 이주를 하면서 이들을 공격하고 노예처럼 부렸다가 발생한 살인사건에 이들 부족이 반발해서 シャクシャインの戦い샤쿠샤인의 전투가 일어나고 부족장들을 비롯 많은 아이누족들이 잔혹하게 살해당했어요. 그후 강제적으로 와진의 아이를 낳게 하는등 순혈 아이누족을 지워가기 시작했죠. 그래서 비교적 순혈에 가까운 러시아이누족과 외모가 좀 다릅니다. (개인적인 생각)
아이누라는 말은 사람이란 뜻이고 아이누족 언어는 구전되어 옵니다. 문자가 없었어요. 그래서 문명발달이 늦었고 속수무책으로 당했죠. 총포로 무장한 와진에 대항해서 겨우 토담을 쌓고 활로 맞썼었으니까요. 대신 그들의 삶을 보면 신화속의 존재들같았어요. 정령을 섬기고 자연과 교감하면서 살았어요. 홋카이도의 깊은 곳을 다니다보면 그런 아이누의 전설과 신화들이 여기저기 엿볼 수 있어요. 또 홋카이도의 지명이 독특한것도 아이누족 말에 한자를 차용해서 그런 것이구요. 가령 에베츠, 노보리베츠같이 ~~베츠란 지명이 유난히 많은건 아이누족언어로 베츠가 강이란 뜻이고 토코탄, 샤코탄같이 ~~탄이란 말은 마을이란 뜻이라고해요.
참고 포스팅 : [쿠시로] 엘프가 사는 마을 アイヌコタン아이누코탄, https://zlab.jp/344
지금은 아이누족출신 의원도 나오면서 보존에도 신경을 쓰고 있지만 30년전만해도 많은 차별이 있었다고해요. 심지어 총리까지 아이누족을 배제하며 일본은 단일민족의 나라라고까지 발언한적이 있었으니까요.
예전에 일본의 国立遺伝学研究所국립유전학연구소에서 발표한 재밌는 연구를 본적이 있어요. 일본 주변 4천키로의 각 민족들의 유전자들의 상동성을 조사한 결과, 류큐민족과 아이누족은 거리가 멀리 떨어져있음에도 불구하고 소위 본토인에 비해 유전적으로 유사하다고 해요.
위 결과중 우측 파란점들이 아이누족이고 연구색이 류큐인들, 그리고 여러 색이 모여있는 곳이 소위 본토인.. 오히려 노란 마름모인 한국보다 저들이 일본 본토인들과 유전적으로 상이점이 많다는 얘기였어요.
그래프화해보니 더 알기 쉬운데요. 유사성으론 한국인 - 일본본토인 - 류큐인 ------- 아이누족이었어요. 즉 선주민들은 그들이고 외부에서 본토인들이 등장했다는 생각도 해볼 수 있죠.
Jinam, Timothy, et al. "The history of human populations in the Japanese Archipelago inferred from genome-wide SNP data with a special reference to the Ainu and the Ryukyuan populations." Journal of human genetics 57.12 (2012): 787.
오랑캐요.. 사실 정이대장군과 오랑캐에 대한 이야기를 할려고 했는데 저 그래프들을 다시보니 마음이 아프네요. 최소한 일본민족에게 가장 가까운게 같은 나라의 아이누족이나 류큐인보다 우리 한민족인데요.
.....
어쩌다 이리되었을지
사이좋은날이 다시 오길
댓글
이 글 공유하기
다른 글
-
일본의 지역 매력도 랭킹
일본의 지역 매력도 랭킹
2020.05.29매년 일본의 ブランド総合研究所브랜드종합연구소(BRI)에서 전국의 도도부현의 여러 랭킹을 발표하는데요. 그중 매력도 랭킹이 가장 주목을 받습니다. 매력도를 뽑기위해 관광이나 맛집, 특산물의 구매의욕, 이미지등의 84항목의 속성항목들로 평가를 한다고해요. 2019년도 랭킹은 31,369명에게 조사한 결과라고 합니다. 일단 내역은 다음과 같아요. 일단 지역명을 한글로 바꿔봤어요. 현재 홋카이도가 11년 연속으로 1위를 달리고 있는데요. 역시 상위에 위치한 지역들은 관광객들에게 인기가 있는 곳들이 많네요. 그리고 대도시가 있는 지역들이요. 물론 대도시가 관광객들에게 인기지만 지방사람들에게 있어서 선호하는 면이 있겠죠. 그런데 이 랭킹이 매년 주목받는 이유중 하나는 최하위 이바라키의 연승(?) 기록이에요. 현재 … -
일본 카레맛집 베스트15
일본 카레맛집 베스트15
2020.05.20지난번 라멘맛집베스트10 동일본/서일본편에 이어 이 외출자숙중에 가고싶은 욕구대로 카레맛집 베스트15를 뽑아봅니다. 일본에는 카레집이 참 많은데요. 정확히는 개인적으로 카레를 정말 좋아해요. 어제 비디오회의를 할때 누가 저에게 인도 확진자수가 낮은건 카레를 먹어서라는데 넌 주3 카레를 먹으니 안심되겠다라고 하더군요 ㅋㅋ (주4일때도 있는데요) 일본 카레의 성지라 불리는 칸다진보쵸주변을 자주 다닙니다. 지금도 자주 다니는 가게도 있구요. 블로그에 포스팅한 가게중 여기없는 곳도 다 좋아하는 가게들이에요. 제일 먹고 싶은 카레를 맛과 가게의 분위기, 추억보정등으로 개인적인 순위를 내봤어요. + 15위 新潟 万代そば 니이가타 반다이소바 +니이가타시 버스터미널 1층에 있는 소바우동집의 카레입니다. 전국적으로 유명… -
일본 라멘 베스트10 - 동일본편
일본 라멘 베스트10 - 동일본편
2020.05.08외출자숙, 이동자숙등등 코로나때문에 마음대로 다니질 못하니 나가고 싶은 마음은 더하고 포스팅할 것도 없고…해서 그동안 포스팅했던 라멘집들중 베스트10을 뽑아볼려고 합니다. 사실 개인적으로 자주가고 맛있는 집만 올려왔기때문에 추리기가 힘들거 같지만 그래서 이런때 더 가고싶은 가게, 더 생각나는 라멘 위주로 서일본/동일본으로 각각 올려볼려고 합니다. 오랜기간 일본에 살고있어서 관광객들의 입맛과는 조금 다를지도 모르겠어요. 그리고 기본적으로 동네인 요코하마 라멘(이에케)의 특징이기도한 톤코츠쇼유라멘에 길들여진 입맛으로 평가해봤습니다. 가게위치나 좀더 자세한 내용은 링크의 원 포스팅을 참고하시구요. 물론 10위안에 들어가지 못했던 라멘들도 다 맛있는 라멘이에요. 좋아하는 가게들이구요. 토카이지역부터 동쪽을 서… -
일본 라멘 베스트10 - 서일본편
일본 라멘 베스트10 - 서일본편
2020.05.07외출자숙, 이동자숙등등 코로나때문에 마음대로 다니질 못하니 나가고 싶은 마음은 더하고 포스팅할 것도 없고…해서 그동안 포스팅했던 라멘집들중 베스트10을 뽑아볼려고 합니다. 사실 개인적으로 자주가고 맛있는 집만 올려왔기때문에 추리기가 힘들거 같지만 그래서 이런때 더 가고싶은 가게, 더 생각나는 라멘 위주로 서일본/동일본으로 각각 올려볼려고 합니다. 오랜기간 일본에 살고있어서 관광객들의 입맛과는 조금 다를지도 모르겠어요. 그리고 기본적으로 동네인 요코하마 라멘(이에케)의 특징이기도한 톤코츠쇼유라멘에 길들여진 입맛으로 평가해봤습니다. 가게위치나 좀더 자세한 내용은 링크의 원 포스팅을 참고하시구요. 물론 10위안에 들어가지 못했던 라멘들도 다 맛있는 라멘이에요. 좋아하는 가게들이구요. 아참, 킨키지역부터 서쪽…
댓글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