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미하치만] 한일우호의 길 朝鮮人街道 조선인길

옛날엔 교통의 요지로 상업의 중심지이기도 했던 시가滋賀현 오미하치만近江八幡시에는 朝鮮人街道쵸센진카이도(조선인가도) = 조선인길이라는 이름의 길이 있습니다. 이길은 彦根히코네까지 이어지는데요.
안내판에는 이렇게 써 있습니다.
"에도시대 장군이 바뀔때마다 조선국에서 국왕의 친서를 가지고 일본에 오는 조선통신사는 관리외에도 문인, 학자등 많을땐 500명 규모로 조직되어 왕복에 1년 정도가 걸렸다고 합니다. 여정은 서울에서 에도까지 약 2천킬로가 되며 오미하치만을 포함헤 히코네에서 야스까지의 일부 지역을 조선인길이라고 지금도 부르고 있습니다. 혼간지하치만별원에서는 사절이, 그리고 쿄카이도 일부는 사절외의 통신사일행의 숙박장소로 쓰였으며 그때마다 당시 마을 사람들은 기뻐하며 환영했고, 문화교류를 함께하며 즐겼습니다"

당시 일본의 동서를 잇는 길은 남쪽 바닷쪽의 東海道토카이도, 그리고 산을 통과하는 中山道나카센도가 있습니다. 그래서 그 갈림길이기도 했던 오미하치만은 교통의 요점이었고 琵琶湖비와호와 西湖니시호를 잇는 운하였기에 상업과 유통이 발달했습니다. 그래서 近江商人오미상인들이 전국적으로 유명해졌고, 그 상인거리가 마을에 남아 있죠.

조선통신사는 서울을 출발해 부산, 배로 대마도에서 세토나이카이를 거쳐 쿄토에, 그리고 에도로 갔다고 합니다. 에도로 갈때 내륙의 길인 나카센도를 통해 에도로 갔었다는데요. 이 길이 조선인길로 따로 이름이 불리는건 이 길이 그 나카센도도 토카이도도 아닌 특별한 길이었기 때문입니다.
지금은 옛 정취가 남아있는 조용한 거리입니다만 옛날에는 상업으로 번성했던 곳이라 남북을 가로지르는 길들에 따로 이름이 있어서 그 이름마다 생선이라든가 고기라든가 어떤 품목을 파는 가게들이 모인곳이 도매상점의 거리로 그 이름으로 남아 있습니다.
그리고 동서로 가르는 길이 조선인길이구요. 조선인의 길이 특별한 이유는 상당히 우대(?)받는 길이었기 때문인데요. 일반적으로 집단이 지나갈때는 토카이도, 나카센도 지정된 두 길로만 다녀야했는데 이 길을 다닐 수 있는 경우는 딱 두가지밖에 없었다고 합니다.
1. 에도막부의 새로운 장군(정이대장군)이 취임해 쿄토로 일왕을 만나러 오갈때
2. 조선통신사 사절이 오갈때
즉, 행렬로 이 길을 지나가는건 당시 관리는 물론 대명도 금지되었고 유일하게 에도막부의 톱만 이용할 수 있었는데 유일한 예외가 조선인통신사였다고합니다. 그래서 길의 이름이 조선인길이 되었다고 합니다. 즉, 막부의 대장군과 조선 국왕의 사절만이 이 길을 지나갈 수 있었던거죠. 그만큼 토쿠가와 막부가 임진왜란후 조선과의 우호회복에 대한 생각이 있었던게 아닌가 싶습니다.
조선통신사가 이 길을 이용할 수 있게 했던건 토쿠가와 이에야스가 조선통신사에게 준 특권이었기도 한데요. 토요토미 히데요시가 죽자 일본은 다시 전국시대가 될거라 조선에 와있던 대명들 = 특히 히데요시파의 대명들이 급히 돌아가고 그렇게 임진왜란이 끝난후 토쿠가와 이에야스가 먼저 세키가하라에서 구히데요시를 따르던 세력 = 서군을 격파합니다. 그리고 서군에 가담한 대명들이 쫓겨나거나 감봉되거나 처형될때 서군에 가담했던 대마도번주 宗義智 소 요시토시에 대해 이에야스는 아무 책임을 묻지 않았는데 이는 조선과의 관계회복을 생각해서 그 역할을 할 창구가 대마도번주밖에 없었기 때문이라고 해요.
임진왜란후 국교를 정상화할려고 소 요시토시가 움직였습니다. 조선의 입장은 침략했으니 먼저 이에야스가 사과할것이었는데 이에야스도 난감했던게
1. 임진왜란은 히데요시정권이 한 일이고 이에야스와 이에야스를 따르는 무장은 사가 나고야성에서 이런저런 핑계를 대고 안갔음
2. 이에야스에게도 히데요시는 적이었고, 히데요시가 죽은후 히데요시세력을 축출했고 히데요시일족을 멸족시켰는데
... 왜 내가 사과를? 하며 이에야스도 자존심에 세운거죠.
그래서 결국 소 요시토시는 국서를 그럴듯하게 위조해 이에야스이름으로 조선으로 보내고 조선도 이에야스에게 답장을 하는 형식으로 다시 수교를 하게 되었다고 해요. 재밌는건 위의 상황이 명분상의 문제라 이에야스의 에도막부도 조선쪽도 그 문서가 위조되었다는걸 대충 짐작은 하고 있었지만 각자 자존심을 살리면서 해결할 방법이 없다는걸 서로 알기에 넘어갔고 국교회복의 기회로 삼았던거죠. (소 요시토시는 임진왜란당시 왜군총대장이었던 소서행장 = 小西行長코니시유키나가의 사위여서 가담할 수 밖에 없었는데 서군이 패배한 것도 있고 그래서 이혼을 합니다 ㅋ)
후에 요시토시의 아들때 권력싸움으로 앙심을 품은자가 국서를 위조한 사실에 대해 막부에 고자질을 했습니다만 에도막부의 당시 3대장군 이에미츠는 고자질한자에게 유죄를 소가문에 대해서는 무죄를 내렸고 그후에도 에도막부는 대마도번을 조선과의 외교와 무역의 창구로 많은 혜택을 주었다고 해요.
무엇보다 일본어로 된 안내에 조선통신사가 머물때 마을 사람들이 기뻐하며 환영했다는 문구가 흐뭇하게 하더군요. 그 옛날 조선통신사가 이 길을 걸을때처럼 추운시기가 지나고 우호의 시기가 다시 오길 바라며...
댓글
이 글 공유하기
다른 글
-
[타카시마] 물의 정원 針江하리에마을
[타카시마] 물의 정원 針江하리에마을
2021.10.02예전에 기후현 구죠하치만에 대해 올린 포스팅에 많은 분들이 NHK에 방송되었던 물의정원 사토야마가 아니냐고 물으셨었어요. 저는 그 방송을 본적이 없었는데 나중에 그게 시가현의 하리에마을 이야기라는걸 알게 되었어요. 지난번에 칸사이를 다녀오는 길 아침에 잠깐 들렀습니다. 마을에는 노인분들이 가이드를 해주시곤 하는데 코로나때문에 그건 중지되어 있어요. 조금 떨어진 신아사히역앞 주차장에 차를 세우고 천천히 걸어갔습니다. 15분 정도 한적한 논길을 걸었어요. 이 하리에마을이 물로 유명해진것은 주변 산에 쌓인 눈들이 녹은 물들이 땅속을 흘러 이곳에 용출되어 나오고 그 용출된 물이 일본에서 제일큰 호수인 비와호로 흘러가기 때문인데요. 구죠하치만도 그렇고 시즈오카의 미시마도 그렇고 일본에는 산 근처에는 이런 물이 용… -
[히코네] 육지의 짬뽕 오미짬뽕의 발상 ちゃんぽん亭本店 챰퐁테혼텐
[히코네] 육지의 짬뽕 오미짬뽕의 발상 ちゃんぽん亭本店 챰퐁테혼텐
2019.10.10滋賀시가현 近江八幡오미하치만시에는 독특한 명물이 있습니다. 바로 짬뽕인데요. 보통 짬뽕이라하면 한국도 그렇지만 일본도 해산물이 들어간 시원한 국물을 떠올립니다. 근데 오미지역에서는 오미짬뽕이란게 유명한데 바다가 없는 내륙지방이라 그런지 해산물이 안들어 있다고 합니다. 그래서 시가현출신들은 이 짬뽕에 익숙해져서 나중에 해산물이 들어간 짬뽕을 먹어보고 놀란다고 하구요. 그리고 반드시 나가사키짬뽕이라고 구분지어서 말한다고 하더군요 ㅋ 그 오미짬뽕의 원조, 발상지로 알려진 히코네의 총본점에 가봤습니다. 창업 쇼와38년, 1963년이라고 하는데요. "궁극의 황금빛 국물, 푸짐한 야채"라고 써 있더군요. 전국적으로 50여개의 체인점이 있구요. 비도 오고 짬뽕이 딱 땡기는 날이었습니다. 가게안은 터치판넬식 식권기가 … -
[나가하마] 시가명물 サラダパン사라다빵
[나가하마] 시가명물 サラダパン사라다빵
2019.06.21滋賀시가현 長浜나가하마에는 괴식(?)에 가까운 サラダパン사라다팡 = 샐러드빵이라는 명물빵을 파는 つるやパン츠루야빵이라는 가게가 있습니다. 지난번 나가하마여행때 들를려고 했는데 생각보다 조금 멀어서 포기했었거든요. 그런데 賤ヶ岳시즈가타케 휴게소에서 판다길레 가는길에 들렀습니다. 영어로 샐러드롤이라고 쓰고 사라다빵! 가격은 145엔인데요. 왜 유명하냐면 이름과 다른 내용물, 그리고 조합이 생각하기 어려운 조합이기 때문입니다 ㅋㅋ 뭘까요 ㅋㅋ 바로 단무지에요 ㅋ 1950년 당시 니시무라상(츠루야 공식홈에서 가져온 사진)이 당시 마요네즈라는게 나와서 들은 제조법대로 만들어봤다고 합니다. 그리고 그렇게 만들어진 마요네즈에 처음 양배추를 넣었는데 양배추가 당시 냉장하기 어려운 시기라 빨리 상하니 이런저런 생각하다가… -
[나가하마] 히데요시 출세의 터 豊公園 토요공원
[나가하마] 히데요시 출세의 터 豊公園 토요공원
2018.11.01滋賀시가현의 長浜나가하마는 豊臣秀吉토요토미 히데요시가 織田信長오다 노부나가에게 성주로 임명받아 부임한 첫 장소입니다. 가진것없는 천한 신분에서 이거저거 해내며 올라와 성주의 자리까지 오르게 되죠. 나가하마는 원래 浅井아자이가문의 땅이었는데 朝倉・浅井아사쿠라 아자이 연합을 물리친후 아사쿠라의 땅을 柴田勝家시바타 카츠이에에게, 그리고 今浜이마하마를 히데요시에게 줍니다. 이 성터에 공원을 만든게 토요공원이구요. 아마 토요토미에서 따와서 토요공원이라고 이름을 붙혔겠죠. 바다처럼 넓은 琵琶湖비와호에 접해있습니다. 사실 당시 그렇게 중요한 땅은 아니었던거 같단 생각도 듭니다. 길목으로썬 오히려 彦根히코네성(http://zlab.jp/510)이 더 중요한 위치였고 그래서 나가하마성은 폐성하고 히코네성을 축성한거일지도…
댓글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