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49AD335A115A6729)
유부초밥을 일본에서는 稲荷寿司이나리스시(혹은 이나리즈시)라고 부릅니다. 두부를 튀긴 유부는 油揚げ아부라아게, 혹은 お揚げ오아게라고 하는데 이상하죠. 또 우동이나 소바도 유부가 들어간건 キツネ키츠네(= 여우)우동 혹은 소바라고 하구요.
冷やしキツネそば 히야시키츠네소바
여우와 유부의 관계보다 우선 稲荷이나리와 여우의 관계부터보면 일본 각지엔 稲荷神社이나리진쟈가 있습니다. 이나리는 신의 이름인데 그 신이 인간에게 무언가를 전할때 여우를 이용한다고 전해져옵니다.(민간에서는 이나리신 자체가 여우라고도 믿어왔다고 해요.) 그래서 신사에는 여우상이 많습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1EF0335A113DC416)
여우와 유부와의 관계가 참 음식을 두고 할 얘기가 아닌데.. 여우가 좋아하는게 쥐이고 여우를 신성시하는 사람들이 쥐를 튀겨주곤 했데요. 튀김쥐!!
그게 참 그래서 공양을 할때는 두부를 튀겨서 바쳤다고 합니다. 튀긴 두부의 모습이 튀긴쥐와 비슷해서 시작되었데요. 그래서 이 유부 자체를 稲荷이나리, キツネ키츠네로 쓰게 되었다고 합니다. 또 지역에 따라서는 여우가 우는 소리 コンコン콩콩을 써서 콩콩스시로 부르는 곳이 있다더군요.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CE4B335A1159C71F)
유부초밥은 사각형과 삼각형 두가지가 대세인데요. 지역에 따라 오사카쪽이 삼각형, 도쿄쪽이 사각형이라고 합니다. 삼각형은 여우의 얼굴을 따른것이라고 하고요. 사각형은 쌀포대를 형상화한거라고 합니다. 이나리신은 풍요를 상징한다고 해요. 그래서 쌀포대를..